반응형

물생활 12

이탄 알약 후기 #어항 #수초

최근 어항 관리를 잘 하지 않았다. 그 덕분에 있던 수초들이 죽어가고, 어항 표면에 이끼가 잔뜩 끼었다. 최근 들어서야 이끼를 제거하고, 메마른 사막에서 자라난 듯이 말라가는 수초에 대한 문제를 인지했다. 수초는 빛이 충분하다고 해도 이산화탄소가 없으면 광합성을 할 수가 없다. 성장도 지체되고 결국 시들어가다 죽게 된다. 생물이 내뿜는 미세한 이산화탄소가 있다고는 하나 그 양이 미미하여 충분한 광합성을 하기에는 어렵다. 그래서 새로운 부레옥잠과 노치도메를 구매하여 이탄 알약을 하나 구매하였다. 이외에도 수조에 이탄을 공급하는 방법은 많았지만 쉽고 간편한 이탄 알약을 선택했다.(어항 자체가 그리 크지않다.) 이 알약을 다 쓰고 나면 다른 방식으로 이탄을 공급해 볼 예정이다. 사실 이탄 알약의 경우에는 다른..

물생활 2022.06.08

로컬 수족관 방문 후기

집 근처에 로컬 수족관이 있길래 방문해보았다. 하지만 재방문을 하지는 않을 것 같다. 가게 주인이 친절하기는 하나 인터넷에 비해 물건 값이 1.5배에서 2배 이상 비싸게 판매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로컬에서는 직접 보고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과 물건을 바로 받을 수 있지만.. 인터넷에서 구매해도 보통 하루에서 이틀 정도면 받을 수 있다. 게다가 물건의 질도 나쁘다고 느낀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그런 이유로 앞으로 로컬 수족관은 정말 급한 일이 아니면 가지 않을 것 같다.

물생활 2022.06.07

수컷 구피 사망 #용궁행

오늘은 슬픈 날이다. 수컷 구피가 한 마리 죽었다. 본 어항에는 2마리의 암컷 구피와 1마리의 수컷 구피가 살고 있었는데, 수컷이 사망함으로서 암컷 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조만간 새로 한 마리를 구매해 와야 할 것 같다. 수컷 구피가 사망하게 된 원인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물생활 초심자이기도 하고, 최근 일이 바빠 어항 관리를 많이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물갈이를 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다만 의심되는 것은 기생충 감염이다. 최근 들어 구피들이 흰색 똥을 싸기도 했고, 하얀 실 같은 것이 항문에 붙어 다니는 것을 종종 관찰 할 수 있었다. 아가미도 붉게 변했으며 해당 증상을 나타내던 암컷 구피 한 마리는 격리 후 소금욕을 실시했다. 그후 건강을 회복하여 잘 살고 있다. 수컷 구피의 경우에는 ..

물생활 2021.12.24

생이새우 포란하다 #알 포란/부화/번식

어느 날, 어항을 살펴보던 나는 충격적인 장면을 목격했다. 고대하고 또 고대하던 생이 새우가 알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처음에 알을 가진 것은 한 마리 뿐이었는데, 시간이 가면 갈 수록 알을 품은 새우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새우들은 번식기가 되면 어항 이곳저곳을 날아(?)다닌다고 했는제, 정말로 새우가 어항을 쏘다닌지 얼마 지나지 않아 포란한 새우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지금은 12마리 중 3마리나 되는 새우가 알을 품고 있다. 매우 신기하게도 배 속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자그마한 알이 꿈틀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종종 새우가 알에 산소를 공급해주기 위해 뒷다리로 알을 터는 것도 목격할 수 있는데 상당히 신비로운 광경이었다. 나중에 결혼하여 자녀가 생긴다면 어항 하나쯤 두는 것이 ..

물생활 2021.12.16

구피 새끼들, 전멸 당하다.

얼마 전에 구피들이 새끼를 낳았다. 2021.11.25 - [물생활] - 구피 새끼를 낳다!? (+검정말 광합성 영상) 귀엽고 쪼그마한 녀석들이 꼬물꼬물 헤엄치는 모습을 보면 지쳤던 마음이 힐링되기도 했었다. 보기만 해도 흐뭇한 미소가 지어지는 녀석들이었지만... 나는 성체와 새끼를 분리하지 않았다. 나름대로 숨을 곳이 제법 있지 않나 라는 안일한 생각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첫 날이 지났을 때는 구피 새끼 한 마리가 실종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한 마리가 잘 숨어서 돌아다니기에 조금만 더 성장해라.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는데. 3일 째가 되자 어항에서 귀여운 생물체가 사라져 버렸다. 자세히 탐색해보니 구피들이 물벼룩을 쫓아서 이곳저곳을 다니는 것을 목격할 수 있었다. 가뜩이나 매복할 장소도 적은 어..

물생활 2021.11.29

구피 새끼를 낳다 (+검정말 광합성 영상)

요즘들어 부쩍 어수선해진 어항. 여러 장식을 구매해서 집어 넣었다. 검정말도 열심히 성장 중이다. 이러고 있길래, 죽은 줄 알았던 다슬기도 잘 살아 있고. 검정말 정상에서 자유를 외치는 어린 새우까지. 어항 생태계(?)는 흠잡을데 없이 잘 돌아가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전에 새우 2마리가 죽은 이후로 죽은 녀석들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 내 어항에는 4마리의 구피(수1, 암3) 새우 11마리, 다슬기 1마리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 아까까지만 해도 그렇게 생각했다. 그런데 스킨답서스의 수중화(?)를 시도하던 내 눈에 무언가가 보였다. 어? 뭐지 이게? 하고 고개를 들어 잎 정면을 보았더니... 좁쌀만한 물고기가 꼬물꼬물대고 있는 것이 보였다. 당황스러웠다. 그런데 며칠 전에 물속에서 쪼만한 것이 헤엄치는 ..

물생활 2021.11.25

어항 조명과 코리도라스 사료

며칠 전에 구매한 조명이 도착했다. 기존에는 조명이 없어 수초가 자랄 수 있는 빛이라고는 형광등을 제외하면 없었다. 그러나 전등의 구입으로 인해 앞으로 수초가 무럭무럭 자라기를 고대하고 있는 중이다. 구성은 단순하다. 거치대가 달려 있는 전등과 어뎁터 케이블이 들어있다. 조명만 구매한 것이 아니라 구피 사료와 코리도라스를 위한 침하성 사료도 구매했다. 바로 이 제품이다. 이제 "우리 코리도라스들이 배불리 먹을 수 있겠구나" 하고 시험삼아 사료를 두개 떨어트렸다. 역시 침하성 사료 답게 바닥으로 뚝 떨어져 내려간다. 도중에 구피가 툭툭 치지만 너무 크다. 그래, 내 어항에 있는 코리도라스가 먹기에는 너무나도 컸다. 코리도라스 한알에 한 마리가 이틀은 먹을 수있을 정도로의 크기다. 코리들이 냄새를 맡으니 환..

물생활 2021.11.19

키우기 쉬운 수초 (검정말, 붕어마름) 도착!

어항이 너무 황량한 것 같아, 수초를 새로 구매했다. 이번에 구매한 것은 검정말과 붕어마름이라는 수초다. 수초를 구매하게 된 것은 어항이 황량해보여서도 있지만, 새우나 추후에 생길지도 모르는 치어나 새우들을 위한 은신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수초의 역할 수초는 수중에 녹아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성장한다다. 이 과정에서 산소를 수중에 방출한다. 수초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빛과 이산화탄소, 비료, 적절한 수온 등이 필요하다. 또한 수초는 물고기의 보금자리로서의 역할도 한다. 어린 치어나 새우들이 공격을 피해서 숨는 은신처로도 활용된다. 나는 수초를 키워본 적이 없기에 기르기 간단한 검정말과 붕어마름을 선택했다. 검정말 (3촉에 1,500원에 구매했다.) 유속이 느린 곳에서 살아가며, 최소한의 조..

물생활 2021.11.18

스티커 온도계 사용법

어느 기점으로 스티커 온도계가 정상적으로 온도를 표기하지 않았다. 그래서 나는 스티커 온도계 자체의 성능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문제는 다른 곳에 있었다. 나는 스티커 온도계를 물이 맞닿는 '어항 내부'에 붙였는데, 알고보니 스티커 온도계는 내부가 아닌 '어항 외부' 붙이는 것이었다. 어항 외부에 붙여 온도를 파악하는 물건이었다. 바보같이 내부에 붙인 덕에 온도 표기가 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흐물흐물해진 스티커가 떨어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제거를 시도해봤으나... 스티커가 흐물흐물하게 달라붙어 있어 떼어내기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추후 어항을 비울 일이 생겼을 때, 제거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우려되는 것이 있다면 스티커에서 나온 유해성분 때문에 물이 더러워지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하여간 ..

물생활 2021.11.18

구피와 함께 나타난 백탁현상

생이 새우와 다슬기만 살고 있는 썰렁한 어항에 구피를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키우기 쉬운 물고기이고 가격도 저렴했기 때문이다. 나는 구피를 사기 위해 근처에 있는 이마트로 향했고, 불행하게도 작은 매장에 물고기를 사겠다는 사람이 많아 30분 정도 기다린 후에나 구피 3마리와 화이트 코라도라스 2마리를 살 수 있었다. 본래 코라도라스는 살 생각이 없었으나 뭔가 귀여워보여서 충동적으로 구매를 하게 되었다. 구피 : 1,000 원 화이트 코라도라스 : 1,000 원 총 5,000 원을 소모했다. 백탁 현상 구매한 물고기를 투입하고 난 뒤에 나는 뭔가 이상한 점을 하나 눈치 채게 되었다. 바로 물이 하얗게 된 것이다. 이른바 '백탁 현상' 이라는 것이었다. 해결 방법을 찾기 위해서 열심히 검색을 해봤더니 원인이 ..

물생활 2021.11.15
반응형